![](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AG6I/btruhwvUnlE/l3sjkJgvfWYLIHgY97O6y0/img.png)
2021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유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일촉즉발의 긴장된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13만 군대가 우크라이나 국경에 집결하였고, 푸틴은 우크라이나 동부에 군 진입을 명령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어린아이부터 백발의 할머니를 포함해 대부분의 민간인들이 일상을 멈추고 전투태세에 들어갔습니다. 전쟁을 대비해 민간인들이 모두 총을 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한 것이죠. 과연 거대한 나라, 러시아는 도대체 뭐가 아쉬워서 작은 나라 우크라이나를 공격하는 것일까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를 최대한 쉽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우선 이들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바로 붙어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둘은 과거부터 한 뿌리였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TUB/btrtvsuoFzL/lKkwY933RhS85MGImS7Ip0/img.jpg)
내가 연락하지 않으면 연락하지 않는 친구가 있지 않으십니까? 챙겨줄 땐 많았는데 얻어갈 게 없어지자 사라지는 인맥도 있습니다. 이럴 때 인간관계나 친구에 대해 허무함을 느낍니다. 그런데 허무함을 넘어 불안해하고 자신감을 잃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반면 친구가 별로 없는데도 자신감이 있고 오히려 더 즐겁게 지내는 것 같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친구가 많든 적든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들은 특히 독립적이고 감정적인 부분에서 강한 면을 보여 부럽습니다. 타인의 반응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주장도 차분하게 말합니다. 부드럽지만 일부러 강한 척하지 않아도 감함이 느껴지는 사람입니다. 이들의 강함은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바로 평상시 갖고 있던 이들의 생각 습관에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친구가 별로 없어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MWoW/btrtnDcyMIK/B0k4Ry2xc2Lrg9Yg2CtATK/img.jpg)
"처음에 교회는 예수를 믿는 사람들의 친교 모임이었습니다. 그 후 교회는 그리스로 가서 철학이 되었고, 로마로 가서는 제도가 되었습니다. 그 다음은 유럽으로 가선 문화가 되었습니다. 마침내 미국으로 왔을 때, 교회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미국 상원의 채플목사를 지낸 리처드 핼버슨이 1984년 미국장로교총회에서 행한 아주 유명한 설교입니다. 미국 교회의 현실을 통렬하게 비판한 이 연설은 많은 사회적 반향을 얻은 바 있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된 미국의 교회가 한국에 와선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에 대해선 한국교회의 민낯을 드러낸 영화라는 평을 받았던 김재환 감독의 2014년 작 '쿼바디스'에서 이렇게 답을 했습니다. "기업이 된 미국의 교회는 한국에 와선 대기업이 되었다." 한국의 교회가 미국과 다른 점이 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yHsD/btrtwlnw9ED/QurqT1b1E4IOW5vcO0Oxa1/img.jpg)
현재 UN에 가입된 나라는 193개국입니다. 이중 아직도 군주제를 하는 나라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무려 44개국입니다. 21세기의 이 대명천지에 23%의 나라에서 여전히 왕이 나라를 지배하거나 국가를 상징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더 놀라운 것은 유럽입니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는 민주공화국이 만들어졌고, 지금도 그 모범을 보이는 나라들이 대다수인 대륙입니다. 그럼에도 아직 대를 이어 세습하는 왕이 10개의 나라에 있습니다.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등입니다. 물론 왕이 절대 권력자인 사우디아라비아나 오만 같은 중동의 일부 국가들과 달리 유럽의 군주제는 소위 "군림은 하되 통치하지는 않는다." 는 입헌군주제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Q6NN/btrtq9OZU21/jVS5x9Lt2DGJDJReViOkDK/img.png)
이슬람 전사들의 상징인 곡도가 사실은 중앙 아시아의 투르크족들로부터 왔다는 사실은 역사적 기록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과연 이 투르크족들을 비롯한 초원의 유목민들은 왜 이런 칼들을 썼을까요? 그리고 그들은 대체 어떤 칼을 썼길래, 수 천년 간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을 수 있었던 걸까요? 오늘은 이들의 칼 문화와 곡도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유목민들의 칼 우린 흔히 유목민이라고 하면 말을 타고 곡선형으로 휜 칼을 휘두르는 무서운 사람들을 떠올리곤 합니다. 몽골 같은 유목 국가들을 여행해 보면 현재도 유목민들은 실제로 항상 칼을 가지고 다니는데요. 유목민들이 항상 칼을 가지고 다닌 이유는 초원에선 칼 없이 절대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초원, 그곳은 어떤 곳입니까? 그곳..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Af5U/btrtq8vLrjo/cGCmBkYZqXfJJIyzdkQHTk/img.jpg)
심리학자인 알프레드 아들러는 인간관계를 모든 행복의 근원이자 고민의 근원이라고 말했습니다. 단절돼서 혼자 살지 않는 이상 인간관계에서 벗어나기는 힘듭니다. 사람들은 살면서 가장 힘든 게 인간관계라고 말합니다. 어떤 분들은 허무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끊고 싶어도 그동안 쌓인 정 때문에, 추억 때문에 끊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이런 고민에서 벗어난 것 같습니다. 사람으로 인한 실망과 갈등이 적으니 스트레스도 적습니다. 인간관계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집착하지 않자 더 만족스러운 인간관계가 되었습니다. 이들에게 이런 힘이 생긴 이유, 인간관계에서도 소외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인간관계 1도 집착하지 않아도 잘 사는 사람들의 특징에 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자기 삶을 살려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J3EG3/btrs4NGSPs1/4eEcpyUhMRxlAurBTsPhEk/img.jpg)
유대인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캐릭터 중 하나가 샤일록입니다. 셰익스피어의 '베니스 상인' 에 나오는 악덕 고리대금업자이지요. 살 1파운드를 담보로 돈을 빌려준 샤일록의 무자비함은 당시의 유대인이 얼마나 많이 고리대음업을 했는지, 그리고 그 때문에 얼마나 많은 미움을 받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현대에도 세계의 금융계는 유대인이 꽉 잡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셰계의 경제대통령이라 불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의장도 미국 재무장관도 거의 대부분 유대인입니다. 여기에 로스차일드와 골드만삭스가 유대계고 '20세기 금융의 연금술사' 라 불리는 조지 소로스도 유대인입니다. 이렇듯 예로부터 지금까지 돈이 있는 곳엔 유대인이 있었습니다. 오랜 기간 유럽 전역에서 받아온 혹독한 박해를 생각할 때 이런 일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WFON/btrs6aohq6N/k5skkWVrTBeSkpZPNVT7xk/img.jpg)
'돈키호테'로 유명한 위대한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무려 5년간이나 포로 생활을 했습니다. 그는 16세기 후반의 '레판토 해전' 에 참전한 군인이었습니다. 유럽으로의 이슬람 진출을 막는데 큰 공헌을 한 전투지요. 고향으로 돌아오던 중 세르반테스는 해적의 습격을 받아 알제리로 끌려갔습니다. 그의 품에는 스페인 제독이 써준 관료 추천서가 있었습니다. 이 덕에 세르반테스는 목숨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해적들이 세르반테스를 엄청난 몸값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인물로 오해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는 하급귀족 출신으로 집안이 무척 가난했습니다. 군인이 된 것도 순전히 먹고 살기 위해서였습니다. 세르반테스는 한 수녀원의 도움으로 거액의 몸값을 지불하고 간신히 풀려나가기는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때의 빚 때문인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5tm0L/btrsXtnVrCa/bprRJkvXKtqUfYRKqbTMGK/img.jpg)
푸틴(Vladimir Putin)은 독재자 입니다. 루소포비아(Lusofobia 러시아 혐오증)가 있는 서구 세계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당사자인 러시아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2020년 개헌 투표에서 러시아 사람들은 푸틴에게 사실상 평생 집권의 길을 열어 주었습니다. 그것도 78%라는 압도적인 지지였습니다. 이를 두고 많은 사람들은 부정선거를 의심합니다. 그리고 의심할 구석도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푸틴의 승리를 뒤집을 정도는 아닙니다. 이 점은 푸틴의 정적들도 인정하는 바입니다. 푸틴이 처음 대통령이 된 2000년의 지지율은 53%였습니다. 하지만 이후를 보면 2004년 71%, 2012년 64%, 2018년 77%로 그야말로 압도적인 승리입니다. 경쟁자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rwZl/btrs2Eal8dZ/i6p7WkRzeAo28xM1ZSLNJK/img.jpg)
2016년의 미국 대선은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누구보다 충격을 받은 건 미국의 지식인들이었습니다. 그간 미국인들은 거짓말하는 정치인들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자부심이 있었습니다. 닉슨의 워터게이트 사건 같은 사례가 있어서입니다. 미국의 폴리티펙트(www.politifact.com)란 곳이 있습니다. 퓰리처상을 받을 정도로 최고의 공신력을 자랑하는 팩트체크 사이트입니다. 이곳에서 트럼프가 한 말의 진위를 따져보니 선거 막바지엔 70%가 거짓말이었습니다.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한 셈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지지자들은 조금도 상관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의 미국인들과 달라도 너무 달랐던 것입니다. 이에 초유의 사태에 당황한 미국인들은 정치학자, 언론학자들은 물론 철학자, 심리학자까지 모두 나서 "미국이 갑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가치관
- 책속에서 길을 찾다
- Money
- 좆됨
- 지식백과
- 러시아
- 문화
- 자영업
- love
- 후회
- 미래
- 한국
- 정신건강
- 국뽕
- 돈 버는 방법
- 우크라이나
- 책 속에서 길을 찾다
- health
- 뉴스
- 찢재명
- 국회
- economy
- 금융
- 멘탈
- 쓰레기
- 역사
- 유럽
- 인간
- 경제
- Ne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