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문에 방충망을 달지 않는 유럽인들, 이유가 무엇일까?! 유럽의 창문에는 방충망이 없습니다. 우린 이걸 당연시하지만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네덜란드, 포르투갈에선 그렇지 않습니다. 유럽에선 모기나 파리가 없는 걸까요? 그럴 리가 없죠. 그럼 유럽의 모기나 파리는 사람을 물지 않는 걸까요? 더더욱이나 그럴 리 없지요. 개인적으론 독일에서 묵을 때, 한밤중에 엄청난 크기의 왕벌이 들어와 그 놈 잡느라 밤샌 적이 있습니다. 우리처럼 방충망을 달면 간단히 해결될 일을 유럽인들은 왜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는 걸까요? 유럽의 집과 건물을 자세히 보면 창 모양이 우리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형태라면 유럽의 창은 반대로 가로가 짧고, 세로가 깁니다...

중국은 왜 더운 여름에도 뜨뜨미지근한 물을 마시는가!! 우린 한겨울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세계 유일의 민족입니다. 외국인들은 이것만으로도 기겁하지만, 우린 남은 얼음을 씹기까지 하죠. 한여름이라면 말할 것도 없습니다. 물이든, 맥주든, 음료수든 늘 얼음처럼 차갑게 준비되어 있어야 하죠. 하지만 차갑게 마신다는 건, 세계적으로 일반적인 현상은 아닙니다. 중국사람들은 미지근하기는커녕 아예 한여름에도 뜨겁게 마십니다.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인도를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 사람들도 비슷합니다. 왜 이들은 우리보다 더 무더운 데도 찬물을 마시지 않는 걸까요? 중국에선 지금도 로컬 식당에서 맥주를 주문하면 대부분 미지근한 걸 가져다줍니다. 조금 고급 식당에서나 “차가운 걸로 줄까요?”라고 물어보는 정도죠. 물..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영업
- 찢재명
- 뉴스
- health
- 미래
- 좆됨
- 역사
- 멘탈
- 정신건강
- 유럽
- Money
- 우크라이나
- 돈 버는 방법
- 경제
- 문화
- 국뽕
- 국회
- 러시아
- 후회
- 쓰레기
- 책 속에서 길을 찾다
- 가치관
- love
- economy
- 인간
- 지식백과
- 책속에서 길을 찾다
- 금융
- News
- 한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