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구에 반드시 필요한 가장 중요한 생물 5가지는 무엇일까?

지구에는 당연하지만 인간만 살지 않습니다. 인간은 이 지구를 함께 쓰는 1500만 종 이상의 생물 중 하나일 뿐이죠. 따지고 보면 모든 생명체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한 종의 생존은 다른 종의 생존과 직결되죠. 이게 생태계입니다.

그러니 지구 생태계를 위해 각자 맡은 역할을 수행 중인 모든 종과 모든 생명체는 소중합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녀석들이 존재하기 마련이죠. 2008년 영국 런던의 왕립지리학회에서 이 분야에서 권위자들이 모여 누가 가장 중요한 종인가를 토론했습니다.

우선 하나만 없어도 인류가 위태로워지는 대체 불가능한 생물 5가지를 선정했습니다.

영장류, 균류, 박쥐, 플랑크톤, 꿀벌이 그들입니다.

지구 생태계를 위해 영장류가 맡고 있는 역할부터 알아봅니다.

영장류는 원숭이를 비롯해 침팬치, 고릴라,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등, 고도로 진화된 지능적인 유인원을 말합니다. 이들은 주로 열대와 아열대 숲에서 살죠. 이곳에서 과일 등을 따먹고 배설을 통해 씨를 퍼트림으로써 울창한 살림을 유지시켜 줍니다. 그리고 나뭇가지를 부러뜨려 빽빽한 밀림 안으로 햇볕이 들어오게도 하죠.

한마디로 영장류는 ‘열대 숲의 정원사’입니다. 이들이 없다면 열대 숲도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산소도, 깨끗한 물도 지구의 기후 조절 기능도 잃게 되니,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즉각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 다음 중요 생물은 인간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균류입니다. 쉽게 말하면 곰팡이죠. 이 하잘 것 없어 보이는 균류는 요즘 식물, 동물과 함께 균물이라고 불리며 3대 고등생물로 대접받고 있습니다. 곰팡이는 한마디로 ‘자연의 청소부’ 입니다. 웬만한 가로수 한 그루가 만들어내는 낙엽이 연간 얼마나 될까요?

100kg 정도 된다고 합니다. 만약 이 균류가 낙엽을 분해하지 않아서 그대로 쌓이기만 한다면 순식간에 사람도 자동차도 다니기가 무척 불편할 것입니다. 게다가 세똥이나 동물똥이 그대로 쌓이기만 한다면 어떨까요? 또 수백만 년 간 동물과 인간의 사체가 썩지 않고 그대로 있다면 상상도 하기 싫을 정도로 끔찍할 것입니다. 지구가 쓰레기장이 되지 않은 건 순전히 균류, 즉 곰방이 덕입니다. 곰팡이가 이들을 분해해 빈 공간을 만들어 준 덕에 새로운 생명체가 그 자릴 대신하게 되는 거죠. 거기에 수많은 식품을 발효시키니 곰팡이가 없다면 우린 된장이나 치즈, 초콜릿, 포도주, 커피도 즐길 수 없게 될 것입니다.

3번째 생물인 박쥐는 그 생김새나 음습한 동굴에서 산다는 점 때문에 원래부터 혐오스런 동물 취급을 받아왔습니다. 최근엔 코로나 바이러스를 퍼뜨려 완전 밉상으로 낙인찍혔죠.

하지만 그렇다고 박쥐를 없애 버리면 진짜 큰일 납니다. 특히 벌레나 곤충을 싫어하는 분들이라면 더욱이나 박쥐를 사랑해야 합니다. 박쥐가 ‘천연 살충제’이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약 3천 마리 정도의 벌레를 잡아먹으며 곤충의 개체수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박쥐가 없다면 우리가 사는 도시는 모기떼와 나방때로 뒤덮이는 끔찍한 광경을 맞게 될 것입니다.

게다가 박쥐가 잡아먹는 곤충은 대부분 농작물에 피핼르 주는 해충들입니다. 그러지 않아도 농작물의 20%가 매년 해충으로 사라집니다. 박쥐가 없다면 당장 식량 부족 사태가 벌어질 겁니다.

박쥐가 일을 하지 않으면 망고나 코코넛, 바나나 같은 열대과일도 없습니다. 열대 과일은 대부분 밤에 꽃이 피죠. 밤에 쉬는 별을 대신해서 화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건 야행성 동물인 박쥐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먹는 열대과일은 전적으로 박쥐 덕입니다. 바이러스 때문에라도 박쥐는 이 지구상에서 꼭 있어야 합니다. 박쥐는 바이러스의 저수지 입니다.

코로나를 포함해 무려 130종이 넘는 바이러스를 갖고 있죠. 그럼에도 바이러스에 아무 문제가 없도록 진화되어 왔고요.

그럼 박쥐가 멸종되면 이 바이러스는 어떻게 될까요? 다른 숙주를 찾아 나서게 될 것입니다. 그게 인간일 가능성이 크죠. 즉, 박쥐가 없어지면 인간은 더 많은 바이러스에 직면해야 하니 인간에겐 훨씬 더 치명적입니다.

지구에서 대체 불가능한 생물 4번째는 플랑크톤입니다.

바다를 떠다니는 부유생물로 우리말로는 ‘떠살이 생물’이라고도 하죠. 누구나 다 아는 것처럼 플랑크톤은 수많은 바다 생명체의 기초적인 먹이입니다. 작은 새우에서부터 거대한 흰긴수염고래까지 바다의 먹이 피라미드에서 그 하부를 든든히 받쳐 주는 게 바로 플랑크톤이죠.

만약 플랑크톤이 소멸한다면 바다 생태계는 바로 파괴될 것이고 우리 식탁에 생선이 오르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것 말고도 플랑크톤이 지구 생태계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게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필요한 산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산소는 대부분 나무가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쓰는 산소의 절반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만듭니다. 바다 표면에 살면서 광합성 작용을 하여 막대한 산소를 뿜어내고 이산화탄소의 절반을 없애주죠.

나무 못지않게 식물성 플랑크톤은 자구의 허파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입니다. 굳이 한 가지 흠을 잡자면 오래전 해저에 가라않아 축적된 어마어마한 양의 플랑크톤입니다. 이들은 지금 석유가 되어 있죠.

우리의 산업을 움직이고 있으니 인간에겐 고마운 일이지만 지구 생태계엔 본의 아닌 해를 끼치고 있는 셈입니다.

마지막 남은 건 세계 최고의 꽃가루 매개자인 꿀벌입니다.

참석자들의 투표를 통해 플랑크톤을 제치고 지구상의 완소 생물 1위에 오른 녀석입니다. 그만큼 꿀벌이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꿀벌의 중요성은 아인슈타인의 한마디에 모두 담겨 있습니다. “벌이 사라지면 4년 안에 인간도 사라진다.”

BBC보도에 의하면 “꿀벌이 없으면 마트에서 파는 식재료의 절반이 사라질 것” 이라고 합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인간이 먹는 100대 농작물 중 70%가 꿀벌이 수분에 의해 생산되고 있습니다.

당근, 양파, 아몬드, 복숭아, 아보카도, 살구 등은 100% 꿀벌의 수분에 의존하니 이것부터 제일 먼저 없어질 것입니다.

카놀라, 코코넛, 아몬드, 참깨에서 나오는 고소한 식용유와도 작별해야 합니다. 식물이 주성분인 수많은 의약품도 마찬가지입니다. 꿀벌이 없으면 대다수의 식물이 열매를 맺지 못해 사라지게 될 것이고 이는 초식동물의 대규모 멸종을 가져와 세계적인 기아 시대를 불러올 것입니다.

거기에 지구 전역의 사막화 같은 생태계 붕괴를 가져와 결국엔 인간의 생존 자체를 장담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재앙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런데 정말 심각한 건 이게 머지않아 현실이 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의 2017년 보고에 따르면 이미 야생벌 2만종 가운데 40%인 8천종이 멸종 위기입니다.

살충제, 매연, 전자파, 이상기후 등으로 꿀벌이 무더기로 사라지는 것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는 2035년쯤에 꿀벌이 완전 멸종할지 모른다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 대체 불가능한 다른 종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무분별한 사냥 등으로 영장류의 위기는 오래 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현 추세라면 50년 내에 60%가 멸종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쥐 역시 지구상의 1천1백중 가운데 20%가 멸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흔해 빠진 것 같은 식물 플랑크톤도 과학전문지 ‘네이처(Neture)’의 발표에 따르면 1950년 이후 40%가 감소했습니다. 그 속도가 기후 변화에 의한 해수면 온도 상승 속도와 일치한다고 하니, 이것 역시 인제입니다.

과연 지구 생태계에 인간은 어떤 존재일까요?

이 글을 쓰기 위해 여러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끝내 인간이 생태계에 도움이 된다는 자료는 찾지 못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